1. 연천읍의 지명유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천문화원 작성일20-08-07 09:47 조회1,178회 댓글0건첨부파일
-
1. 연천읍.hwp (78.5K) 112회 다운로드 DATE : 2020-08-07 09:47:44
관련링크
본문
연천군 2읍 8개 면의 하나이다.
이 읍은 본래 연천현의 현내면(縣內面) 지역으로, 읍내리(邑內里)·지혜동리(智惠洞里)·동막리(東幕里)·무수동리(無愁洞里) 등 4개 동리를 관할하였는데, 조선 고종 32년(1895) 지방관제 개정에 의하여 현내면을 군내면(郡內面)으로 개칭하고 읍내(邑內)·지혜(智惠)·차탄(車灘)·통현(通峴)·동막(東幕)·고문(古文)의 6개 동리로 개편 관할하였다가,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면(東面)의 와초(瓦草)·옥산(玉山)·현가(玄加)·상리(上里) 등 4개 동리를 병합하여 와초·옥산·현가·상·읍내·차탄·동막·통현·고문의 9개 리로 개편 관할하였으며, 1938년 1월 1일 "조선총독부 경기도령 제28호"에 의하여 군내면을 연천면으로 개칭하였다. 1945년 8·15 광복 직후에는 연천면 전지역이 3·8선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6·25가 끝난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 임시 행정조치법"에 의하여 행정권이 수복되었고, 1979년 5월 1일 "대통령령 제9406호"에 의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89년 1월 1일에는 "대통령령 제12557호"에 의하여 포천군 관인면의 부곡리를 새로 편입하여 10개 리로 개편 관할하여 오늘에 이른다. 읍의 동쪽은 포천군 관인면, 남쪽은 전곡읍과 청산면·포천군 창수면, 서쪽은 군남면과 중면, 북쪽은 신서면과 경계가 되는 연천군 행정의 중심지역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