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백학면의 지명유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천문화원 작성일20-08-07 09:51 조회1,012회 댓글0건첨부파일
-
5. 백학면.hwp (68.0K) 62회 다운로드 DATE : 2020-08-07 09:51:33
관련링크
본문
연천군 2읍 8면의 하나이다.
이 면은 본래 적성현(積城縣)의 지역으로, 옛 적성관아에서 북쪽에 위치하므로 북면(北面)이라 하여 학곡(鶴谷)·노곡(蘆谷)·구미연(龜尾淵)· 통구(通口)·전동(箭洞)·장곡(獐谷)·맹동(孟洞)·고촌(高村) 등 8개 동리를 관할하였는데,
조선 고종 32년(1895) 지방관제 개정에 의하여 적성현에서 마전군(麻田郡)으로 편입되면서 북면을 하신면(何新面)이라 개칭하였고,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마전군이 연천군에 편입되면서 장단군 지역에 속해 있던 장신면(長新面, - 옛 長湍都護府의 長東面 지역)의 백령(百嶺)·갈현(葛峴)·두현(頭峴)의 3개 리를 병합하여 백령리의 "百"자와 학곡리의 "鶴"자를 따서 백학면이라 하여 백령(百嶺)·두일(斗日)·노곡(蘆谷)·전동(箭洞)·학곡(鶴谷)·구미(九尾)·갈현(葛峴)·두현(頭峴)· 통구(通口)의 9개 리로 개편하여 관할하여 오다,
1945년 8·15 광복과 동시에 3·8선에 의해 남과 북이 분리되면서 대부분의 지역이 공산 치하에 놓이게 되었고, 남쪽 지역에 속한 노곡·학곡·구미리 일부 지역은 1945년 11월 3일 "군정법령 제22호"에 의하여 파주군 적성면에 편입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